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이번에 알아볼 것은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 문의 방법입니다.
취업, 실업급여, 노동 문제 등으로 고민이 많으신 분들이 계실 텐데요. 고용노동부에서는 국민들의 다양한 고용 및 노동 관련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전문적인 고객상담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1350번 전화부터 인터넷 상담, 모바일 상담, 카카오톡 채팅까지 다양한 방법으로 상담을 받을 수 있어 매우 편리합니다.
각각의 상담 방법별로 특징과 이용 방법이 다르니, 상황에 맞는 최적의 상담 방법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지금부터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의 모든 문의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350 전화 상담
국번없이 1350번으로 전화하시면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와 연결됩니다. 전화요금은 유료이며, 이용시간은 평일 09:00~18:00입니다.
전화 연결 후 ARS 안내에 따라 원하는 상담 분야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1번은 지방관서 전화번호 및 위치안내, 2번은 상담 분야별 안내(실업급여, 노동상담, 취업지원 등), 3번은 민원 확인, 4번은 외국어상담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실업급여 상담을 원하실 경우 ARS 2번을 누른 후 4번(실업급여 및 고용보험가입)을 선택하시면 전문 상담원과 연결됩니다. 노동상담의 경우 2번을 누른 후 2번(임금, 해고, 근로시간 등 노동 및 산업안전)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빠른 인터넷 상담
간단하고 단순한 질문이 있으시다면 빠른 인터넷 상담을 이용해보세요. 100자 이내의 질문에 대해 빠른 답변을 받을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이용 가능시간은 09:00~18:00(토·일·공휴일 제외)이며, 처리 기한은 8근무시간 이내입니다. 예를 들어 오후 4시에 접수하시면 익일 오후 4시 이내에 처리됩니다.
비공개 상담은 '상담내역'에서 답변을 확인할 수 있으며, 법령·제도 등의 복잡한 질문은 「민원 신청 → 질의 민원」코너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모바일 상담
모바일 상담은 스마트폰으로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이용시간은 평일 09시~16시(점심시간 12시~13시 제외)입니다.
상담 내용은 공개되며, 문의하신 내용은 8 근무시간 이내에 답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비공개 상담이 필요한 경우에는 빠른 인터넷 상담을 이용하시길 권장합니다.
FAQ, 상담신청, MY상담, Best상담 등의 메뉴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확인하고 상담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카카오톡 채팅 상담
최근 가장 인기 있는 상담 방법 중 하나가 바로 카카오톡 채팅 상담입니다. 실시간으로 상담사와 대화를 주고받으며 친절하게 안내받을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현재 '실업급여에 대한 일반상담'만 가능하며, 상담시간은 평일 09:00~18:00입니다. 점심시간 중에도 상담이 가능합니다.
이용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 다수의 이용자가 동시 접속할 경우 상담 대기 시간이 발생할 수 있으며, 개인정보를 이용한 상담에는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챗봇 상담
인공지능(AI) 상담사가 24시간 365일 언제든지 답변해주는 챗봇 서비스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실업급여 및 전국 관할고용센터에 대해 안내하고 있습니다.
카카오톡에서 '고용노동부고객상담센터'를 검색하여 친구 추가한 후 대화를 시작하면 됩니다. 간단한 질문이나 기본적인 정보가 필요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챗봇은 사람 상담원이 아닌 AI가 답변하므로, 복잡하거나 개인적인 상담이 필요한 경우에는 다른 상담 방법을 이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전국 노동청·지청 방문 상담
직접 방문하여 면대면 상담을 받고 싶으시다면 전국의 노동청·지청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6개 지방청 및 40개 지청, 2개 출장소에서 전화·방문 상담이 가능합니다.
지역별로는 ①서울지역(서울지방 고용노동청), ②경기·인천·강원 지역(중부지방 고용노동청), ③대전·충청지역(대전지방 고용노동청), ④대구·경북지역(대구지방 고용노동청), ⑤광주·전라지역(광주지방 고용노동청), ⑥부산·경남지역(부산지방 고용노동청)으로 구분됩니다.
자세한 주소 및 전화번호는 고용노동부 홈페이지 → 기관 소개 → 소속기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분야별 전문 상담센터
특정 분야의 전문적인 상담이 필요하시다면 분야별 전문 상담센터를 이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직장 내 괴롭힘 상담의 경우 1522-9000번으로 연락하시면 됩니다. 직장 내 성희롱 관련해서는 전국 고용평등상담실을 이용하실 수 있으며, 운영단체 명단은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청소년 노동상담은 청소년 근로권익 센터(전화 1644-3119, 카카오톡 ID: 청소년근로권익센터)에서, 외국인 노동상담은 외국인력 상담센터(1577-0071)에서 받으실 수 있습니다.
외국인력 상담센터는 영어, 베트남, 태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스리랑카, 중국어, 몽골, 우즈베키스탄, 캄보디아 등 고용허가제 송출국 16개국 언어를 지원합니다.
고객상담센터 조직 현황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는 2016년 3월 1일 책임운영기관으로 지정되었으며,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3에 본부가 위치해 있습니다.
전국에 울산센터, 천안센터, 안양센터, 광주센터 4곳의 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각 센터별로 전담 분야가 나뉘어 있습니다.
울산센터는 임금·퇴직금·근로시간 등 노동 및 산업안전, 국민취업지원제도를 담당하고, 천안센터는 실업급여·이직확인서, 청년내일채움공제, 구인구직 등 취업지원, 출산육아 등 모성보호 급여를 담당합니다.
안양센터는 실업급여·이직확인서, 사업주 지원금을, 광주센터는 실업급여·이직확인서, 내일배움카드, 외국인고용 분야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Q.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 전화번호는 무엇인가요?
국번없이 1350번입니다. 전화요금은 유료이며, 평일 09:00~18:00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Q. 실업급여 관련 상담은 어떻게 받나요?
1350번으로 전화 후 ARS 2번을 누르고 4번(실업급여 및 고용보험가입)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카카오톡 채팅 상담으로도 실업급여 상담이 가능합니다.
Q. 인터넷으로 상담받는 방법이 있나요?
네, 빠른 인터넷 상담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100자 이내의 간단한 질문에 대해 8근무시간 이내에 답변을 받을 수 있습니다.
Q. 카카오톡으로 상담받을 수 있나요?
네, 카카오톡에서 '고용노동부고객상담센터'를 검색하여 친구 추가 후 상담원 채팅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현재 실업급여 관련 상담만 가능합니다.
Q. 고객상담센터 운영시간은 언제인가요?
평일 09:00~18:00입니다.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에는 운영하지 않습니다.
Q. 야간이나 주말에도 상담받을 수 있나요?
챗봇 상담은 24시간 365일 이용 가능합니다. 다른 상담 서비스는 평일 운영시간에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Q. 외국어로 상담받을 수 있나요?
1350번으로 전화 후 ARS 4번을 누르면 영어상담(1번)과 중국어상담(2번)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외국인력 상담센터(1577-0071)에서는 16개국 언어를 지원합니다.
Q. 직장 내 괴롭힘이나 성희롱 상담도 받을 수 있나요?
직장 내 괴롭힘은 1522-9000번으로, 직장 내 성희롱은 전국 고용평등상담실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전문 상담센터에서 더 세밀한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Q. 청소년도 노동 상담을 받을 수 있나요?
네, 청소년 근로권익 센터(1644-3119)에서 청소년 전용 노동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카카오톡 ID '청소년근로권익센터'로도 상담 가능합니다.
Q. 개인정보가 필요한 상담도 가능한가요?
진정 사건 조회, 실업급여 수급 확인 등 개인정보 확인이 필요한 민원은 각 지방관서로 직접 문의하셔야 합니다.
Q. 상담 후 처리결과는 어떻게 확인하나요?
1350번으로 전화 후 ARS 3번을 누르면 신청한 민원의 처리상태와 실업급여 관련 이직확인서 제출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Q. 모바일로도 상담받을 수 있나요?
네, 모바일 상담 서비스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평일 09시~16시(점심시간 제외)에 이용 가능하며, 8근무시간 이내에 답변을 받을 수 있습니다.
결론
결론적으로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는 다양한 방법으로 국민들의 고용 및 노동 관련 궁금증을 해결해주는 종합 상담기관입니다.
1350 전화상담부터 인터넷 상담, 모바일 상담, 카카오톡 채팅, 챗봇까지 개인의 상황과 선호에 맞는 상담 방법을 선택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합니다.
특히 실업급여, 취업지원, 노동 문제 등 각 분야별로 전문성을 갖춘 상담원들이 정확하고 친절한 답변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급한 질문이 있으시다면 1350번 전화나 카카오톡 채팅을, 간단한 질문이라면 빠른 인터넷 상담이나 챗봇을 이용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그럼 여기까지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 문의 방법을 알아봤습니다.